진료케이스

보호자의 마음을 알고
생명의 가치를 존중합니다. 

LEE ANIMAL MEDICAL CENTER

진료케이스

울산 슬개골 탈구 수술, 언제 필요한가요? | 24시 이승진동물병원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승진동물의료센터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5-09-02 14:19

본문

본원은 30년 이상의 경험으로

타지역에서도 믿고 진료의뢰 맡겨주시는

'전국 최다 수술 경험'이 있는 2차 병원입니다.

 

오늘 알아볼 케이스는 슬개골 탈구 입니다.

아무래도 슬개골 탈구는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님이시라면 흔히 알고 계실 거라 생각되는데요

 

우선 슬개골 탈구가 무엇인지, 증상, 단계,

진단과정 등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580_8708.jpg
 

 

슬개골 탈구, 어떤 질환인가요?


슬개골은 무릎 부위에 존재하는 작고 동그란 뼈를 의미하며

다리를 굽혔다가 펼 때 부드럽게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뼈입니다.

 

정상적으로는 대퇴고랑이라는 홈을 따라 부드럽게 움직이지만,

탈구가 발생하면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고, 심한 경우 절뚝거리거나

다리를 들고 걷는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610_6611.png
 

 

위 사진에서 슬개골이 어디일까요?

바로 가운데 동그랗게 되어있는 부분이 슬개골입니다. 어렵지 않죠?


슬개골은 위로는 근육, 아래로는 슬개인대가 있고 양측 옆으로도 슬개골을 잡아주는 인대가 하나씩 있습니다.

 

슬개골을 좌우로 잡아주는 인대가 끊어지면 당연하게도 슬개골이 빠지게 되겠죠?

이렇게 '인대가 늘어나고 끊어지는 경우슬개골이 빠지게 되고

이것을 슬개골 탈구라고 이야기 합니다.

 


슬개골 탈구 증상과 단계별 구분 (1)

 

그렇다면 슬개골 탈구가 있는 아이들은

정상적인 아이들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사실은 위에서 말씀드린 인대 이외에도

슬개골 탈구가 진행된 아이들은

여러가지 뼈의 형태 변화(기형)가 동반

경우가 많습니다.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717_2923.png


슬개골 탈구가 있는 아이들의 다리를 보면

오른쪽 사진처럼 다리가 안으로 돌아가고

약간 굽어있는 형태인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 좌측 사진에서처럼

슬개골 탈구 등급이 올라갈수록

뼈의 형태 변화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슬개골 탈구는 정도에 따라

1등급에서 4등급으로

4 단계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크게보면 평소에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

있는 1등급과 2등급, 그리고 평소에도 탈구되어있는

3등급과 4등급으로 나눌 수 있어요.

 

조금 자세히 이야기드리자면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1등급: 슬개골이 때때로 탈구되지만, 스스로 원래 위치로 돌아갑니다.

2등급: 슬개골이 자주 탈구되며, 수동적으로 위치를 바로잡아야 할 수 있습니다.

3등급: 슬개골이 항상 탈구된 상태이고, 힘을 가해 움직이면 일시적으로 정상 위치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4등급: 슬개골이 항상 탈구된 상태이며,

힘을 가해도 정상 위치로 바로잡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그렇지만 복잡한 슬개골 탈구라는 질환을

단순히 4개의 등급으로 나누는 것은

그냥 생각해봐도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실제로 슬개골 탈구는

실력과 경력있는 수의사의 정확한 촉진으로

1~4등급 이외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명확히 확인해야

불필요하게 수술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 증상과 단계별 구분 (2)


슬개골 탈구가 되면 왜 다리를 불편해하는지

생각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원리를 알아야 수술 후 관리도 잘 하실 수 있고

병원에서 설명도 더욱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외상으로 인한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외상성 슬개골 탈구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슬개골 탈구 환자는

슬개골이 밖으로 빠지고 들어오면서 불편감이 유발되게 됩니다.

 

슬개골 탈구가 되면 무릎을 움직일 때

슬개골이 방해가 되면서 불편감을 유발합니다.

무릎을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기 위한 구조인데

오히려 움직임을 방해하니까

아이들이 불편해할 수 밖에 없는거죠.

 


슬개골 탈구 치료

 

슬개골 탈구가 발생하였을 때

언제부터 수술적인 교정이 필요한가에 대해

명확한 기준점은 존재하지 않으나

 

신체검사상 관절의 마모도가 느껴진다던지,

인대의 탄성이 많이 저하되어 있다던지,

증상이 심하다던지

하는 등의 검사 결과와 방사선 평가를 종합하여

수술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낮은 등급의 슬개골 탈구의 경우

보존적인 치료 (운동재활치료) 등으로

회복을 시도해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슬개골 탈구는 진행되는 질환이므로

적절한 시기에 수술해주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좋을 수 있습니다.

(*탈구 등급이 올라갈수록 관절면 손상이 늘어나 있다는 연구문헌이 존재)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841_4581.jpg 

 

슬개골 탈구의 수술적 교정은 일반적으로

대퇴골의 고랑을 깊게 해주는 활차구 성형술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855_8653.jpg
 

슬개골인대의 닿는 부위를 외측으로 옮겨주어

슬개골이 내측으로 빠지려는 힘을 경감시켜주는

경골결절번위술

 93b15fc25d5ea64d9e388c4b83492279_1756790876_9778.jpg 

 

슬개골 외측의 주변조직을 당겨서

슬개골의 내측변위를 줄여주려는

내측 지대 이완 및 외측 지대중첩술

동시에 시행합니다.



외과 수술 전문 (울산 슬개골 탈구 수술)

울산 이승진동물병원

 

"이승진 동물병원은

전국적으로도 수술을 가장 많이 하는,

그리고 '수술을 가장 잘 하는 병원'입니다."

 

울산 이승진동물병원은 연간 2,000건 이상,

누적 3만 건 이상의 수술 경험을 보유한

이승진원장님이 수술을 집도합니다.

2024년 기준 전체 외과수술 약 2,500

정형외과 수술 중 슬개골 탈구 교정술 62.6% (426 케이스)

정형외과 수술 중 십자인대 단열 재건술 31% (132 케이스)

정형외과 수술 중 골절 18% (123 케이스)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이승진 원장님의 집도를 받기 위해

많은 분들이 멀리서도 본원을 찾아주시고 계시며,

보호자님들께 항상 감사한 마음입니다.

 

30여년간 약 3만건 이상의 수술 집도

슬개골 탈구 중 타지역 비율: 51.2%

십자인대 단열 중 타지역 비율: 34.1%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을 고려 중이시라면,

30년 이상 수술 노하우를 가진 본원에 문의해주세요.

 

사랑하는 반려견의 건강한 걸음을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94 이승진동물의료센터 052-258-2516
Copyright(C)2021 LEE ANIMAL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